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경향신문] 12·12 쿠데타 맞서다 순직한 김오랑 중령 35년 만에 훈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업무관리자 작성일14-01-16 10:19 조회22,202회 댓글0건

본문

[경향신문] 12·12 쿠데타 맞서다 순직한 김오랑 중령 35년 만에 훈장

1979년 12·12 군사쿠데타 당시 신군부에 맞서 싸우다 순직한 김오랑 중령(사진)에게 35년 만에 보국훈장이 추서된다.

정부는 14일 국무회의에서 고 김오랑 중령에게 보국훈장 삼일장을 추서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지난해 4월 국회는 민주당 민홍철 의원이 발의한 ‘고 김오랑 중령 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고, 이후 국방부는 특전사령부·육군본부를 거쳐 공적심의를 진행했다. 민 의원은 김 중령의 고향인 경남 김해를 지역구로 두고 있다.

국방부는 “전시 또는 준전시에 적과의 전투에 참가”라는 무공훈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보국훈장으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대통령 재가를 받아 훈장 추서의 세부 방법과 일정을 정할 예정이다.

1979년 12월13일 0시20분,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이끈 신군부는 서울 송파구 거여동 특전사령부를 급습, 군사반란을 진압하려는 정병주 특전사령관 체포를 시도했다. 비서실장 김오랑 소령(당시 35세·육사 25기)은 권총을 들고 쿠데타군과 총격전을 벌였고, 6발의 총탄을 맞고 현장에서 숨졌다. 김 중령의 시신은 부대 뒷산에 묻혔다가 동기생들의 탄원으로 이듬해 2월에야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부인 백영옥씨의 노력으로 1990년 중령으로 추서됐지만 명예회복의 길은 멀고도 더뎠다. 그사이 김 중령의 부인과 어머니는 세상을 떠났다.

김 중령의 육사 동기로 절친한 친구였던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이 김 중령의 묘 앞에서 대성통곡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당시 육군대학 교관이었던 남 원장은 학생들 앞에서 김 중령을 예로 들며 “군인은 자기 군복의 명예를 위해 기꺼이 죽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의하기도 했다. 그 여파로 남 원장조차 연거푸 진급에서 누락됐다.

17·18대 국회에서도 ‘고 김오랑 중령 무공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 촉구결의안’이 발의됐으나 통과되지 못했다.

지난해 4월 결의안이 국회 국방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김 중령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하는 것이 맞느냐를 놓고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도 반대 의견을 밝히면서 결의안에서 ‘무공’이란 말은 빠졌다. ‘김오랑 기념사업회’ 측은 육사나 특전사령부에 추모비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방부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회의원 민홍철